본문 바로가기

별바지의 경제 여행

메르스 관련주 종목 알아보기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이 꿈틀~ 부산과 대전 등에서 메르스 환자에 대한 뉴스가 나오면서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부산에 이어서 대전에도 메르스 의심환자가 발생했다고 하기 때문에 예전 메르스의 공포가 다시 되살아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감 때문입니다. 당연히 메르스가 아니기를 바라지만 그 당시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이 상승을 많이 했기 때문에 관심을 받는 것은 어쩔 수 없겠습니다.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은 제약회사도 있고, 손 소독제도 있고, 마스크 관련주 종목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다~하면 꽤나 많습니다. 이번에는 제약회사 위주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메르스 관련주는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리고 메르스로 인해서 한 번 홍역을 치뤘기 때문에 정상적이라면 아마 초동대치 등에서 큰 차이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참고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메르스 관련주 한올바이오파마 종목입니다. 한올파바이오파마 주가는 24,000원입니다. 메르스 관련 항바이러스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해서 메르스 관련주 종목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단순히 일봉상으로는 가격이 높아 보이지 않다는 것이 장점이지 않나 생각하고, 가격이 많이 하락한 것 같은데 이유는 살펴봐야겠습니다. 특히 제약주 종목들이 최근에 일들이 많아서 조심하셔야 합니다.




메르스 관련주 바이오니아 종목입니다. 바이오니아 주가는 9,750원인데 이 종목도 많이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약 관련주들이 삼성바이오, 네이처셀 등의 문제로 인해서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일단 작년이었나요? 한바탕 제약 바이오 관련주들이 큰 상승을 겪었고 조정을 받고 있었는데 주도주들이 일이 많아 지면서 힘을 제대로 못 쓰고 있습니다.



특히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삼성바이오로직스나 네이처셀 등 굵직한 종목들에서 사건이 발생하면서 제약 바이오 관련주들에 대한 신뢰가 무너져버렸고, 투심이 악화되면서 투매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의 증시 자체가 주도주가 없어지다보니 요즘은 개별주 종목들로 움직이고 있으며 엄청 재미없는 장세가 거의 두 달 동안 이어지고 있다는 점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메르스 관련주 중앙백신 종목입니다. 중앙백신 주가는 21,750원입니다. 다른 종목들에 비해 많은 상승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메르스 관련 바이러스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관련주들을 정리하면서 항상 말씀드리지만 관련주 중에서도 뽑기를 잘 하셔야 합니다. 이상하게 빌빌거리면서 가지 못하는 종목말고~ 잘~ 가는 종목들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메르스 관련주 조아제약 종목입니다. 조아제약 주가는 5,000원입니다. 조아제약 종목은 제약도 제약이지만 마스크도 팔기 때문에 마스크 관련주로도 불립니다. 메르스라는 질병이 공기 중으로도 전파되기 때문에 예전에도 마스크 관련주들이 큰 상승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손 소독제 등도 불티나게 팔렸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공공장소 등에 항상 손 소독제가 있었고 마스크를 많이 착용하고 다녔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직까지 큰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메르스 관련주 진원생명과학 종목입니다. 진원생명과학 주가는 5,680원입니다. 거래량이 발생하면서 상승했지만 음봉으로 마감을 한 모습입니다. 보통 저런 자리는 길면 일주일 이내에 다시 한 번 상승할 수 있는 힘은 있습니다. 음봉 대신에 양봉이 나왔으면 더욱 좋았겠지만,, 재료가 살아있다면 지금 자리에서 한 번의 상승은 나올 수 있는 자리라고 보여집니다.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은 마지막으로 말씀드리지만 제약 바이오 관련주들이 있고, 손 소독제 관련주들 그리고 마스크 관련주까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메르스라는 질병이 공기중으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손을 깨끗이 씻어야 예방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런 종목들도 연관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다른 것을 떠나서 메르스 관련주 종목들은 한 번 메르스로 상승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아마 대처가 이전보다는 더욱 잘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메르스 관련 환자나 확진 그리고 파급력 등을 항상 고려해서 투자에 임해야 하겠습니다. 정상적인 대처라면 이전보다 파급력은 훨씬 약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섣부른 투자보다는 뉴스 등을 주시하면서 투자에 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