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주와 배당주로 화성산업을 포스팅했었는데, 벌써 연말이라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실적주와 배당주로 매력있는 기업은행입니다. 기업은행은 송해 배우 때문에 국민들의 관심을 가진 은행입니다. 이전까지만해도 기업은행은 이름때문인지 기업들이 거래하는 은행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국민들에게 가장 친숙한 송해 배우를 모델로 내세워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사실, 은행주 및 증권주 그러니까 금융 관련주들은 모두 실적이 좋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기업은행을 선정한 것은 KB금융이나, 하나지주, 신한 등 다른 은행관련주나 NH투자, 미래에셋대우 같은 증권주보다 월등히 좋아서가 아니라 배당관련주 공기업이라서 글을 작성합니다. 이전 글에도 명시하였듯이 당분간 주식관련글은 사업보고서 및 정밀분석보다는 단순차트와 추세흐름정도를 살펴보는 정도로 포스팅하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기업은행(024110) 일봉입니다. 흐름은 나빠 보이지 않고 우상향 하는 모습인데 확실히 무거운 종목이기는 합니다. 은행주이면서 시가총액 자체가 높기 때문이죠.
기업은행(024110)의 주봉입니다. 12,000원대에서 쭈욱 상승하여 15,000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일선 지지 후 행보가 중요하겠습니다.
기업은행 월봉입니다. 이전 전고점 18,350원대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차트만 보자면 바닥을 다진 후 6개월 정도 상승하고 횡보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기업은행(024110)의 실적입니다. 2016년 영업이익이 1조 5천억을 넘었습니다. 또한, 2017년 영업이익은 1조 8천억에서 2조 사이정도를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시가총액은 아직 8조 5천억 밖에 안되는데 말이죠. 배당 또한, 3%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4년 3%에서 2016년에는 3.78%를 배당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2017년에는 당연히 4% 이상을 배당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기업은행의 경우 대한민국정부(기획재정부)가 55%의 지분을 가지고 있고, 국민연금에서 9%의 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65%가량의 지분을 정부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공적인 성향을 띠고, 정부의 입김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은행이랑 공공적인 성향이랑 무슨 상관관계냐? 올해 들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으로 주주환원정책이 강화되기 때문에 연말 배당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적이 좋은 기업들 중에서 정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들은 일반 사기업보다 배당을 늘리라는 압박을 더욱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까 기업은행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등 주주환원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실적이 좋아지고 있다를 모두 지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정도 되면 기업은행에 예금을 하거나 적금을 드는 것 보다 기업은행 주식을 사는 것이 훨씬 이익이지 않을까요? 실적주 추천? 배당주 추천? 기업은행은 어떠신가요?
'별바지의 경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12.14 #32 배당 500원 실화인가요? 제이스텍(090470)을 알아보자 (0) | 2017.12.14 |
---|---|
2017.12.11 #31 경영도 도박같이? 마제스타(035480)를 알아보자 (0) | 2017.12.11 |
2017.12.10 #29 실적주! 배당주! 화성산업(002460)을 알아보자 (0) | 2017.12.10 |
2017.12.10 #28 액면분할로 한바탕! 서울식품(004410)을 알아보자 (0) | 2017.12.10 |
2017.12.09 #27 저가항공의 기대주 티웨이홀딩스(004870)를 알아보자 (0) | 2017.12.09 |